1.0)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 스프링은 자바를 기반으로 한 기술이다.
- 스프링이 자바에서 가장 중요하게 가치를 두는 것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언어라는 점이다.
- 스프링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제공하는 폭넓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을 핵심 철학으로 여긴다.
- 스프링을 이해하려면 먼저 오브젝트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한다.
- 애플리케이션에서 오브젝트가 생성되고 다른 오브젝트와 관계를 맺고, 사용되고, 소멸하기까지의 전 과정이 있다.
- 결국 오브젝트에 대한 관심은 오브젝트의 기술적인 특징과 사용 방법을 넘어 오브젝트의 설계로 발전하게 된다.
-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스프링이 무엇인지도 이해될 것이다.
- 그러므로 무엇을 제공하는지보다는 스프링이 관심을 갖는 대상인 오브젝트에 집중해보자.
'Java-Spring > 토비의 스프링 3.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5) (0) | 2023.09.08 |
---|---|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4) (0) | 2023.09.08 |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3) (0) | 2023.09.07 |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2) (0) | 2023.09.07 |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1) (0) | 2023.09.07 |
1.0)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 스프링은 자바를 기반으로 한 기술이다.
- 스프링이 자바에서 가장 중요하게 가치를 두는 것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언어라는 점이다.
- 스프링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제공하는 폭넓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을 핵심 철학으로 여긴다.
- 스프링을 이해하려면 먼저 오브젝트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한다.
- 애플리케이션에서 오브젝트가 생성되고 다른 오브젝트와 관계를 맺고, 사용되고, 소멸하기까지의 전 과정이 있다.
- 결국 오브젝트에 대한 관심은 오브젝트의 기술적인 특징과 사용 방법을 넘어 오브젝트의 설계로 발전하게 된다.
-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스프링이 무엇인지도 이해될 것이다.
- 그러므로 무엇을 제공하는지보다는 스프링이 관심을 갖는 대상인 오브젝트에 집중해보자.
'Java-Spring > 토비의 스프링 3.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5) (0) | 2023.09.08 |
---|---|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4) (0) | 2023.09.08 |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3) (0) | 2023.09.07 |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2) (0) | 2023.09.07 |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1)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