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수의 이해와 활용
변수란?
- 데이터의 저장과 참조를 위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붙인 이름
-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고, 그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이 붙게 되어 이를 통해 접근
- 변수 선언
int num;
// int : 정수를 저장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겠다는 용도를 결정하는 선언
// num : 메모리 공간에 붙일 이름
-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으로는
- 변수를 선언하고 값의 저장과 참조를 진행
- 변수를 선언하면서 동시에 값을 저장
// 1.
int num1;
num1 = 10;
// 2.
int num2 = 20;
자료형의 종류와 구분
- 변수의 자료형을 결정한다는 것은 해당 변수에 값을 저장하고 참조하는 방식을 결정한다는 의미
- 정수를 저장하는 용도로 변수를 선언하면 정수만 저장할 수 있어 실수를 저장할 경우 컴파일러가 오류를 발생시킴
- 그러므로 변수에 저장할 데이터의 유형을 알리기 위해 자료형을 사용
- 자바는 다양한 종류의 값을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형 제공
- 자바 가상머신은 정수형 연산을 4바이트 int형으로만 진행
- byte형 변수와 short형 변수에 저장된 값을 대상으로 int형 값으로 변경하게 됨
- 그러므로 연산을 동반하는 상황에서는 메모리 절약보다 오히려 데이터의 변호나 과정만 추가되므로 int로 선언
자바의 변수 이름 짓는 방법
- 자바는 대소문자를 구분함
-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 $과 _ 이외의 다른 특수문자는 변수의 이름에 사용할 수 없음
- 키워드는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음
✔ 정수의 표현 방식 이해하기
컴퓨터는 어떠한 방식으로 정수를 표현할까?
- 컴퓨터는 가장 왼쪽에 부호를 나타내는 비트를, 나머지 일곱 비트는 데이터의 양적의 크기를 의미하여 양의 정수를 표현
- 음의 정수의 경우, 양의 정수의 이진수 표현에 2의 보수를 취한 결과를 통해 표현
✔ 실수의 표현 방식 이해하기
컴퓨터는 어떠한 방식으로 실수를 표현할까?
- 실수와 실수 사이에는 무한개의 실수가 존재하므로 컴퓨터는 소수점 이하 자릿수까지 표현해야 하는 실수 표현 한계
- 그러므로 값의 오차가 발생하겠지만 정밀도를 낮추고 대신에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넓히기로 결론
'Java-Spring > 열혈 Java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클래스와 인스턴스 (0) | 2023.08.01 |
---|---|
[Java] 메소드와 변수의 스코프 (0) | 2023.06.28 |
[Java] 실행 흐름의 컨트롤 (0) | 2023.06.27 |
[Java] 연산자 (0) | 2023.06.27 |
[Java] 상수와 형 변환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