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brid Cloud for Storage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인프라의 일부는 AWS 클라우드에 두고 일부는 온프레미스에 있도록 하는 것
- 더 길어진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때문이거나 보안 요건, 규정 준수 요건, 탄력 있는 워크 로드 클라우드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
- S3는 EFS/NFS와 다른 독점 스토리지 기술이므로 S3 데이터를 온프레미스로 나타낼 때는
S3와 온프레미스 인프라 사이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는 AWS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사용
AWS Storage Cloud Native Options
- AWS의 스토리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옵션을 보면 블록 스토리지인 EBS와 EC2 인스턴스가 있고
파일 시스템인 EFS와 FSX가 있으며, 객체 레벨 스토리지인 S3와 Glacier가 존재
AWS Storage Gateway
- 스토리지 게이트웨이는 온프레미스 데이터와 S3의 클라우드를 연결하며, 데이터를 EBS , S3, Glacier로 가져옴
- 재해 복구, 백업 및 복원, 계층화된 스토리지에 사용됨
- 스토리지 게이트웨이는 3가지 유형이 있음
- 파일 게이트웨이
- 볼륨 게이트웨이
- 테이프 게이트웨이
File Gateway
- NFS와 SMB 프로토콜을 사용해 액세스 가능하도록 S3 버킷을 구성할 수 있고
S3 표준, S3 IA, S3 One Zone IA 등의 스토리지 클래스 유형을 지원 - 각 파일 게이트웨이의 IAM 역할을 사용하는 버킷 액세스가 보호되며 가장 최근에 사용된 데이터는 파일 게이트웨이에 캐시
- 파일 게이트웨이는 온프레미스의 여러 서버에 장착될 수 있음
- 만약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온프레미스의 Active Directory(AD)와 통합되어 사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음
-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NFS 프로토콜인 v3 혹은 v4.1을 통해 파일 게이트웨이와 통신하고
파일 게이트웨이는 가교가 되어 AWS 클라우드를 연결하게 되면 클라우드 안에는 S3 표준과 S3 IA가 있고 Glacier도 사용 가능
그 후 파일 게이트웨이는 HTTPS를 통해 클라우드의 버킷들과 접속 및 통신을 하게 됨
만약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고 Active Directory를 설정한 상태라면
Active Directory와 파일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합으로 파일 게이트웨이 레벨의 인증을 제공
- 이러한 방식으로 백엔드에서 S3를 활용하여 온프레미스의 NFS 크기를 확장할 수 있으며
파일이 S3로 액세스 및 확장되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에 매우 큰 스토리지를 제공하게 될 수 있음 - 가장 많이 쓰인 파일은 파일 게이트웨이에 캐시되어 파일 액세스 지연 시간을 낮추도록 도와주기도 함
Volume Gateway
- S3의 iSCSI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블록 스토리지로
EBS 스냅샷으로 백업되는 볼륨을 가지며 필요한 경우 온프레미스 볼륨을 복구하는데 도움 - 볼륨 게이트웨이에는 두 종류가 존재
- 캐시된 볼륨 : 최근 데이터의 액세스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음
- 저장된 볼륨 : 전체 데이터셋이 온프레미스에서 제공되며 S3에 백업이 예약됨
- 애플리케이션의 서버 백업이 필요한 경우 iSCSI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볼륨 게이트웨이를 얻으면
볼륨 게이트웨이는 S3가 지원하는 EBS 스냅샷을 생성하여 온프레미스 서버의 볼륨을 백업할 수 있음
Tape Gateway
- 테이프 게이트웨이는 회사가 물리적 테이프를 써서 테이프를 클라우드에 백업
- 가상 테이프 라이브러리인 VTL은 S3와 Glacier가 지원되며
기존 데이터를 백업할 때 테이프 기반 프로세스 및 iSCS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백업 소프트웨어 판매 업체와 협업하기도 함 - 기업 데이터 센터에 테이프 기반 백업 서버가 있으면
S3와 Glacier에 테이프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테이프 게이트웨이가 클라우드에 접속하며
테이프 게이트웨이가 설치되는 곳은 기업 데이터 센터이고 기업 데이터 센터 내에서 실행되어야 함
Storage Gateway – Hardware appliance
- 게이트웨이를 실행할 가상 서버가 없을 경우 AWS의 하드웨어를 이용인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를 이용
즉, 온프레미스 가상화가 없으면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를 Amazon.com에서 주문하여 사용 -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 설치를 끝내면 (인프라에 미니 서버가 설치되면)
파일 게이트웨이나 볼륨 게이트웨이, 테이프 게이트웨이로 설정 가능하며
물리적인 설치가 필요하며 올바르게 작동하려면 충분한 CPU, 메모리, 네트워크, SSD 캐시 리소스 등이 필요 - 소규모 데이터 센터에서 매일 NFS 백업을 수행하지만 가상화가 불가능한 경우 등에 유용하게 사용됨
AWS Storage Gateway Summary
- 온프레미스 데이터와 클라우드 사이에 브리지가 필요하다면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사용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과 함께 Active Directory를 사용하는 선택적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면 파일 게이트웨이 사용
- 볼륨, 블록 스토리지, iSCSI 백업이 필요한 경우 볼륨 게이트웨이를 사용해 EBS 스냅샷을 생성
- 백업에 테이프 솔루션이 필요하다면 테이프 게이트웨이 사용
- 온프레미스 가상화 시스템이 없는 경우라면 소스 게이트웨이에서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를 주문하고 데이터 센터에 설치
<스토리지 Gateway 실습>
-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생성
Amazon S3 File Gateway, FSx File Gateway, Volume Gateway, Tape Gateway로 네 가지 게이트웨이가 존재
S3 File Gateway는 가장 최근에 사용한 파일에 대해 S3 온프레미스에서 로컬 캐시를 가지므로 이를 선택
플랫폼 옵션에는 VMWare, Hyper-V, Linux KVM 같은 온프레미스 가상화 플랫폼에서 호스팅을 할 수 있음
또한 EC2에서 바로 호스팅할 수 있지만 캐싱의 이점을 얻지 못하며 자체적인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도 가능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를 데이터 센터에 연결하면 상당히 편리하게 파일 게이트웨이를 실행할 수 있음
이번 실습에서는 EC2 인스턴스를 선택하여 게이트웨이를 구성
FSx File Gateway는 S3와 동일하지만 온프레미스로 직접 Windows File Server를 캐싱함
플랫폼 옵션에는 위와 같이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며 원한다면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도 가능
Volume Gateway는 볼륨 타입으로 Cached volumes과 Stored volumes를 가지며
Cached volumes는 볼륨에서 가장 최근에 사용된 데이터로의 짧은 액세스 지연 시간이 특징이며
Stored volumes는 오프사이트 백업이 예정된 온프레미스 데이터를 뜻함
Volume Gateway는 S3의 블록 스토리지를 사용하며 EBS 스냅샷으로 지정 시간 백업이 됨
Tape Gateway는 S3에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고 VTL에서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쓰기 때문에
기존 테이프 기존 프로세스를 사용해서 Glacier에 보관할 수 있음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A] Amazon FSx 개요 (0) | 2022.04.03 |
---|---|
[SAA] Amazon FSx 파일 Gateway (0) | 2022.04.02 |
[SAA] 아키텍처 : Snowball에서 Glacier까지 (0) | 2022.04.02 |
[SAA] AWS Snow Family 개요 (0) | 2022.04.01 |
[SAA] AWS Global Accelerator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