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Backup
- 완전히 관리되는 백업 서비스이며 주로 중앙에서 관리하고 AWS 서비스 간의 백업을 자동화하므로
사용자 지정 스크립트나 메뉴얼을 만들 필요가 없으며 백업 서비스에서 모든 것이 직접 관리됨 - AWS의 많은 서비스들을 지원하는데 FSx, EFS, DynamoDB, EC2 인스턴스, EBS, 모든 DB엔진에 대한 RDS, Aurora,
Volume Gateway를 위한 Storage Gateway도 지원 - 리전 간 백업과 계정 간 백업도 지원하므로 AWS에 백업 구성에 핵심적인 서비스
- 지정 시간 복구(PITR)을 지원하며 온디맨드와 예약된 백업을 지원
- 태그 기반으로 백업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EC2 인스턴스나 EBS 볼륨을 올바르게 태그하면 태그를 기반으로 한 백업 정책을 갖게 됨 - 백업 정책을 생성할 때 백업 플랜도 만들며 백업 플랜의 빈도는 12시간, 하루, 일주일, 한 달마다 등이 있음
- cron 표현식도 원한다며 지정할 수 있음
- 백업 윈도우도 있어 일정 시간이 흐른 후 백업을 콜드 저장소로 보낼지 말지, 아예 보내지 않기 등을 정함
- 유지 기간도 정할 수 있어 항상, 일, 주, 월, 년으로 기간을 정할 수 있음
- AWS 백업 도식
백업 플랜을 만들고 빈도와 유지 정책을 정하고 태그 기반 정책의 대상이 될 서비스를 정함
그리고 백업하고 싶은 AWS 리소스를 지정하면 자동으로 백업이 실행되고 백그라운드에서 모든 게 S3에 백업됨
<AWS 백업 실습>
- 백업 플랜 생성
백업 플랜 생성에는 세 가지 옵션이 존재하며 템플릿으로 시작하거나 새로운 플랜을 만들거나 JSON을 사용해 플랜을 정의 가능
그 중 템플릿으로 시작하는 것이 가장 간단
매일 25일 유지, 매일 매달 일년 유지 등 서로 다른 템플릿들이 존재하는데 매일 매달 일년 유지를 선택하고 TestPlan이라고 작성
백업 규칙에는 매일과 매달 백업이 존재하며 백업이 저장되는 곳인 백업 저장소로는 AWS 기본 버전이나 새 저장소 생성 가능
백업 빈도, 백업 창은 언제 시작할지인지 원하는대로 지정할 수 있고
콜드 저장소로 보낼 것인지, 보내지 않을 것인지, 며칠, 몇 주, 몇달, 몇 년 후에 보내는 것도 가능함
또한 백업 유지 기간도 정할 수 있음
이 백업들을 특정 목적지에 복사할 수도 있어 재배 복구의 목적으로 다른 리전에 둘 수 있음
- 리소스 지정
리소스 지정을 누른 후 TestAssignment라고 한 후 백업을 실행할 IAM 역할을 고를 수 있음
리소스는 리소스 ID로도 지정할 수 있고 태그에 따라서도 지정할 수 있음
리소스 ID를 가진 DynamoDB 테이블을 지정해 백업을 하거나
Environment Production가 태그된 모든 것이 백업될 수 있도록 가능함
EC2로 가서 EBS 볼륨을 생성하고 태그의 키를 Environment Production로 두면 자동으로 백업하도록 백업 플랜으로 가게 됨
즉, 백업 플랜에 만든 태그와 일치하기 때문에 리소스 지정이 되어 자동으로 백업 플랜이 실행된 것
이후 이는 백업 저장소에 백업이 나타나게 되고 작업이 예약 및 실행될 것이며 백업과 복원, 복사 등의 작업이 가능해짐
- 백업 설정
설정을 보면 백업 정책이나 계정 간 모니터링 계정 간 백업 등이 가능함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A] AWS의 캐싱 전략 (0) | 2022.05.03 |
---|---|
[SAA] AWS의 이벤트 처리 (0) | 2022.05.03 |
[SAA]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AWS로 전송 (0) | 2022.05.02 |
[SAA] DataSync (0) | 2022.05.02 |
[SAA] AWS를 통한 온프레미스 전략 (0) | 2022.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