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sted Advisor
- 사용자는 계정을 분석하고 권장사항을 제공받기 위해 AWS로부터 높은 수준의 계정 평가를 받길 원할 때 Trusted Advisor를 사용
- 사용자 계정에는 다섯 가지 범주의 문제를 분석
- 비용 최적화
- 성능
- 보안
- 내결함성
- 서비스 할당량
- Trusted Advisor의 두 가지 티어 중에서
- 첫 번째 티어는 모든 고객에게 핵심 검사와 권장사항을 제시하며
이는 계정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본 검사
또 콘솔에서 직접 Trusted Advisor의 주간 이메일 알림을 받기 때문에 매주 원활하게 추적할 수 있음 - 두 번째 티어로는 만약 Trusted Advisor의 기능을 전부 사용하고 싶다면 비즈니스나 기업의 지원 플랜이 필요하며
그 전까지는 핵심 검사(Core Check)만 가능함
전체 기능을 사용하면 서비스 제한에 도달한 경우 CloudWatch 경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AWS 지원 API를 통해 Trusted Advisor로 프로그래매틱 액세스할 수 있음
- 첫 번째 티어는 모든 고객에게 핵심 검사와 권장사항을 제시하며
Trusted Advisor Checks Examples
- Trusted Advisor가 수행하는 중요한 검사들
- 비용 최적화 검사
활용도 낮은 EC2 인스턴스와 작동되지 않는 로드 밸런서, 활용도 낮은 EBS 볼륨 등을 보여줌
예약 인스턴스 및 절감형 플랜 최적화를 표시 - 성능 검사
활용률이 매우 높은 EC2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과사용을 위해 정보를 제공
CloudFront CDN 최적화 정보도 마찬가지로 정보 제공하며 EC2를 EBS에 연결하여 얻을 수 있는 성능 및 최적화를 보여주고
DNS에 대한 Alias 레코드 권장 사항을 보여줌 - 보안 검사
루트 계정의 MFA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근에 IAM 키가 교체되었는지, IAM 액세스 키가 노출되었는지 볼 수 있음
예) 직원 하나가 인터넷상에서 액세스 키를 분실하여 노출될 경우 Trusted Advisor가 이를 인지하여 액세스 키를 종료해야 함
또한 S3 버킷 권한에 관련한 보안 문제를 보여주어 버킷에 공용 액세스가 있는지,
SSH의 보안 그룹이 제한받지 않는 포트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줌 - 내결함성 검사
EBS 스냅샷 수명과 서로 다른 AZ의 균형, 오토 스케일링 그룹과 RDS, ELB가 모두 다중 AZ인지 알려줌 - 서비스 할당량 검사
특정 서비스가 할당량에 도달했는지 알 수 있고 실제로 도달하기 전에 서비스 할당량을 높일 수 있음
<AWS Trusted Advisor 실습>
- Trusted Advisor 콘솔
다섯 가지 범주가 있으나 기업이나 비즈니스 플랜이 없어서 핵심 검사에만 액세스할 수 있음
비용 최적화 메뉴로 들어가면 전부 핵심 검사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항목도 액세스할 수 없으며
비즈니스나 기업의 지원 플랜으로 업그레이드해야만 가능함
성능 메뉴 또한 업르게이드가 필요함
보안에서는 핵심 검사를 할 수 있음
공용 EBS 스냅샷과 공용 RDS 스냅샷 및 S3 버킷의 버킷 권한을 보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볼 수 있고
IAM 사용과 루트 계정의 MFA 등을 볼 수 있음
내결함성은 업그레이드를 해야 함
서비스 할당량으로 들어가면 실행 구성에 대한 오토 스케일링 그룹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그러므로 Trusted Advisor는 기업이나 비즈니스 플랜이 있을 때 유용한 서비스이며
모든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고 핵심 검사와 경보 기능도 사용할 수 있음
Preference로 가면 주간 이메일 알림을 받을 수 있어 이메일 주소를 설정하면 청구서와 작업 및 보안 정보를 알려줌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A] 아키텍처의 예 (0) | 2022.06.02 |
---|---|
[SAA] ECS 서비스 및 작업, 로드 밸런싱 (0) | 2022.05.24 |
[SAA] 다섯 번째 Pillar : 비용 최적화 (0) | 2022.05.07 |
[SAA] 네 번째 Pillar : 성능 효율성 (0) | 2022.05.07 |
[SAA] 세 번째 Pillar : 신뢰성 (0) | 202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