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
암호화란?
- 데이터를 암호화되지 않은 일반 텍스트에서 암호화된 암호 텍스트로 변환하는 방법
- 사용자는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암호 해독 키를 사용하여 해독된 데이터에 액세스
- 암호화는 사이버 보안을 사용하여 무차별 암호 대입, 그리고 맬웨어 및 랜섬웨어를 포함하는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
대칭키 암호화란?
-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기법
- 암호화한 정보를 누군가에게 보낼 때, 암호키도 함께 보내줘야 함
- 암호키 자체는 암호화가 되지 않은 평문이므로 분실하거나 타인에게 노출되면 보안에 매우 취약할 수 있음
- 키 전달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지만, 암호화 연산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효율적인 암호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
공개키 암호화(비대칭키 암호화)란?
- 대칭키 암호화 방식의 키 전달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방식
-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분리한 암호화 기법
-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암호키(개인키 혹은 비밀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키(공개키)를 대중에게 공개한 후,
이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받아 자신만의 고유한 암호키(개인키 혹은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문서를 복호화 - 이때 특정 사람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 배포, 관리하고 특정한 사람의 공개키를 보장하기 위해
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 디지털 인증서, 전자 서명을 도입 - 암호화, 복호화를 위해 복잡한 수학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고 복잡함
- 대칭키 암호화의 장점과 공개키 암호화의 장점을 채택하여 용량이 큰 정보는 대칭키로 암호화하고,
암호화에 사용된 대칭키는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대상에게 전달하는 하이브리드 암호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됨
즉, 대칭키를 주고받을 대만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고 이후에는 계속 대칭키 암호화 방법으로 통신
'Tech Interview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동기와 비동기 (0) | 2024.01.27 |
---|---|
[Network] 로드 밸런싱 (0) | 2024.01.27 |
[Network] Socket (0) | 2024.01.24 |
[Network] Stateful과 Stateless (0) | 2024.01.24 |
[Network] REST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