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드 밸런싱
로드 밸런싱이란?
- 둘 이상의 CPU 또는 저장 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
-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서버가 나눠서 일하도록 균등하게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것
- 분산식 웹 서비스로, 여러 서버에 부하를 나누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도와줌 -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이트의 규모에 따라 웹 서버를 추가로 증설하면서 로드 밸런서로 관리해주면 웹 서버의 부하 해결 가능

- 로드 밸런서가 서버를 선택하는 방식
- CPU 스케줄링의 라운드 로빈 방식을 활용하여 선택
- 연결 개수가 가장 적은 서버를 선택
- 사용자의 IP를 해싱하여 특정 사용자가 항상 같은 서버로 연결되도록 선택
- 또한 서버를 분배하는 로드 밸런서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로드 밸런서를 Active 상태와 Passive 상태로 이중화하여 대비

'Tech Interview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I/O (0) | 2024.01.27 |
---|---|
[Network] 동기와 비동기 (0) | 2024.01.27 |
[Network] 암호화 (0) | 2024.01.27 |
[Network] Socket (0) | 2024.01.24 |
[Network] Stateful과 Stateless (0) | 2024.01.24 |
✔️ 로드 밸런싱
로드 밸런싱이란?
- 둘 이상의 CPU 또는 저장 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
-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서버가 나눠서 일하도록 균등하게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것
- 분산식 웹 서비스로, 여러 서버에 부하를 나누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도와줌 -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이트의 규모에 따라 웹 서버를 추가로 증설하면서 로드 밸런서로 관리해주면 웹 서버의 부하 해결 가능

- 로드 밸런서가 서버를 선택하는 방식
- CPU 스케줄링의 라운드 로빈 방식을 활용하여 선택
- 연결 개수가 가장 적은 서버를 선택
- 사용자의 IP를 해싱하여 특정 사용자가 항상 같은 서버로 연결되도록 선택
- 또한 서버를 분배하는 로드 밸런서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로드 밸런서를 Active 상태와 Passive 상태로 이중화하여 대비

'Tech Interview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I/O (0) | 2024.01.27 |
---|---|
[Network] 동기와 비동기 (0) | 2024.01.27 |
[Network] 암호화 (0) | 2024.01.27 |
[Network] Socket (0) | 2024.01.24 |
[Network] Stateful과 Stateless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