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AWS
[SAA] 타사 도메인 및 Route 53
Domain Registar vs. DNS Service
- 도메인 등록 기관과 DNS 서비스 사이의 차이
- 도메인 네임을 살 때 원하는 도메인 등록 기관을 함께 살 수 있으며 연간 정액요금을 지불해야 함
- 현재까지의 실습에서는 Route 53 콘솔을 통해 Amazon 등록 기관을 사용한 것
- 도메인 등록 기관은 어느것이나 사용해도 됨 (GoDaddy, Google 도메인, Amazion Registrar 등)
- 도메인 등록 기관을 통해 도메인을 등록하면 항상 DNS 레코드를 관리할 수 있는 DNS 서비스를 제공
- 만약 Amazon 호스트 네임을 통해 DNS 네임을 등록하면 Route 53 호스팅 영역이 DNS 레코드를 관리
하지만 Route 53을 DNS 레코드로 사용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도 있음
- 반대로 GoDaddy를 통해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음
예) example.com을 구매하고 DNS 레코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Amazon Route 53을 사용
GoDaddy as Registrar & Route 53 as DNS Service
- GoDaddy를 도메인 등록 기관으로, Route 53을 DNS 서비스로 설정하는 방법
- GoDaddy에 도메인을 등록
- 동일한 서버 옵션을 설정
- 커스텀 네임 서버를 명시
- Amazon Route 53으로 가서 원하는 모든 도메인을 위한 Public Hosted Zone을 생성
- Public Hosted Zone의 호스팅 영역 세부사항에서 네임 서버를 찾아 GoDaddy 웹사이트에서 변경
- GoDaddy 어떤 네임 서버를 사용해야하는지에 대한 쿼리를 답해야 하며 네임 서버로 Amazon Route 53 네임 서버를 가리킴
- 그러므로 Amazon Route 53을 통해 모든 DNS 레코드를 관리할 수 있게 됨
3rd Party Registrar with Amazon Route 53
- 즉, 위의 경우처럼 만약 3rd 파티 등록 기관에서 도메인을 구매하면 Route 53을 DNS 서비스 제공자로도 사용할 수 있음
- 이를 위해 Route 53 내에 Public Hosted Zone 영역을 생성
- 네임서버 또는 네임서버의 레코드를 도메인을 구매한 3rd 파티 웹사이트에서 업데이트해 Route 53 네임서버로 가르키게 함
- 모든 도메인 등록 기관이 보통 동일한 DNS 특성에서 오지만, 도메인 등록 기관은 DNS 서비스와 유사하나 다름을 주의